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0

< 모든 것은 기본에서 시작한다 > 손웅정, 2021 (eBook) 아버지가 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아이를 낳았다고 다 아버지는 아닙니다. 아버지 노릇을 해야 아버지입니다. 내가 낳은 아이는 나와 같으면서 나와는 또 다른 존재입니다. 아버지가 된다는 것은 개똥밭에서 구르든 불구덩이에 뛰어들든 자기 자식을 위해 끝없이 책임을 지고 사랑을 쏟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세상의 그 무엇보다 무거운 윤리적 무게를 견뎌내야 겨우 아버지가 됩니다. 세상의 모든 아버지가 그렇게 아버지가 됩니다. 나는 언제나 흥민이에게 짧게 핵심만 전달하려 한다. 미주알고주알 훈계하거나 훈수 두지 않는다. 프로에서 뛰는 햇수가 차츰 쌓이면서 점점 더 내가 길게 말할 필요가 없어졌다. 시즌 도중에 흥민이는 스스로 엄격하게 자기를 통제한다. 먹고 싶은 것도 놀고 싶은 것도 철저히 차단하고 오로지 축구.. 2025. 10. 17.
< 가난해지지 않는 마음 > 양다솔, 2021 (eBook) 행자에게는 한 줄의 명심문이 있다. '네, 하고 합니다'다. 그것으로 내가 가진 의지를 내려놓는 연습, 내가 아닌 존재로 살아보는 연습을 했다. 지금까지 살아온 내가 아닌, 다른 나를 만들기 위해서였다. 불교의 법은 모든 것이 나로부터 나아가 나에게로 돌아온다고 믿는다. 그곳에서 싫은 상대를 만난다면 그는 원수가 아니라 나를 돌아볼 수 있게 해주는 불보살, 즉 은인으로 불렀다. 거기서부터 시작해 자신의 마음이 어떤 식으로 움직이는지, 어떤 습관에 지배받는지 살펴보아야 했다. 내가 행동을 바꿔야 한다면 누가 나를 싫어해서가 아닌 바로 나를 위해서여야 했다. '사람들은 왜 나를 싫어하지?'에서 '나는 왜 이 행동을 하고 싶지?'로 질문이 바뀌는 데는 꼬박 2년이 걸렸다. 그곳에서 '그냥' 살기에는 너무나 고.. 2025. 10. 16.
< 판결을 다시 생각한다 > 김영란, 2015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을 결정적으로 가른 것은 실질과 형식의 문제였다. 죄형법정주의나 조세법률주의 등은 법이라는 엄격한 형식을 갖추지 않고 형사처벌을 하거나 조세를 부과하는 것을 막기 위한 원칙이다. 엄격한 형식주의가 개인의 기본권을 보호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해온 것이다. 형식을 무시하고 실질을 들여다본다는 것은 법률의 자의적인 적용을 불러올 수 있으므로 그만큼 위험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형식을 가장해 추구하는 실질이 명백히 드러난 경우에까지 형식주의만을 추구하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는가. 때에 따라 실질을 취하기도 하고 형식을 취하기도 하는 법률 해석의 전례로 보면 이는 결국 전체적인 제도의 취지와 입법의 목적 등을 고려해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나는 당신이 쓴 글을 혐오한다. 그러나 당신의 .. 2025. 9. 13.
< 밥상머리의 작은 기적 > SBS스페셜 제작팀, 2010 나는 서울대 도덕심리연구실에서의 오랜 연구 활동을 통해 미래의 경쟁력이 곧 도덕성에 있고 도덕성 없이는 사회의 리더로 설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인재가 넘쳐나는 이 시대에 웬만한 정보와 지식으로는 남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출 수 없고, 설혹 모든 것이 완벽하다 하더라도 도덕적 능력이 부족한 아이는 10~20년 뒤 성인이 되었을 때 결코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 이우 문용린(전 교육부장관,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분석해본 결과, 온 가족이 함께 한 식사 자리에서 아이는 다른 어떤 상황보다도 훨씬 수준 높고 다양한 어휘를 구사했다. 이는 전문가는 물론, 아이들과 매일 함께 생활하는 부모들조차 의식하지 못한 것이었다. 당시만 해도 식탁에서의 대화는 가족 간의 유.. 2025. 8. 29.
< 불편한 편의점 > 김호연, 2021 (eBook) "아들 말도 들어줘요. 그러면... 풀릴 거예요. 조금이라도." 그제야 선숙은 자신이 한 번도 아들의 말을 제대로 들어주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언제나 아들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살기만 바랐지, 모범생으로 잘 지내던 아들이 어떤 고민과 곤란함으로 어머니가 깔아놓은 궤도에서 이탈했는지는 듣지 않았다. 언제나 아들의 탈선에 대해 따지기 바빴고, 그 이유 따위는 듣고 있을 여유가 없었다. "밥 딜런의 외할머니가 어린 밥 딜런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해요. 행복은 뭔가 얻으려고 가는 길 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길 자체가 행복이라고. 그리고 네가 만나는 사람이 모두 힘든 싸움을 하고 있기 때문에 친절해야 한다고." 어떤 글쓰기는 타이핑에 지나지 않는다. 당신이 오랜 시간 궁리하고 고민해왔다면, 그것에 대해 .. 2025. 8. 26.